양주 조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주 조씨는 고려 시대 양주호장을 지낸 조잠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고 정승 8명, 홍문관 대제학 3명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조계생, 조말생, 장렬왕후, 조태채 등이 있으며, 2015년에는 약 29,631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주 조씨 - 조기숙
조기숙은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원,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새로운미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고, 저서로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등이 있다. - 양주 조씨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양주 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양주 조씨 楊州趙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기도 양주시 |
시조 | 조잠(趙岑) |
집성촌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 |
인물 | 조계생, 조말생, 조극관, 조정, 장렬왕후, 조존성, 조창원, 조사석, 조태구, 조태채, 조도빈, 조태억, 조두순, 조병세, 조병식, 조병갑, 조민희, 조영희, 조동희, 조강희, 조중응, 조중수, 조중헌, 조중훈, 조중표, 조양호, 조남호, 조환익, 조정호 |
년도 | 2015 |
인구 | 29,631명 |
2. 역사
양주 조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여, 2015년 기준 29,631명의 인구 대비 급제자 비율이 높은 편이다.[2] 조선시대에 정승 8명과 홍문관 대제학 3명을 배출하였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양주 조씨(楊州趙氏)의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양주호장(楊州戶長)을 역임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추증되었다.조잠(趙岑)의 증손인 조계생(趙啓生)과 조말생(趙末生)은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세종 때 좌참찬(左參贊)과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에 이르렀다.[1]
2. 2. 조선 시대
양주 조씨(楊州趙氏)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양주호장(楊州戶長)을 역임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추증되었다.조잠(趙岑)의 증손인 조계생(趙啓生)과 조말생(趙末生)은 조선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각각 좌참찬(左參贊)과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에 이르렀다.[1]
양주 조씨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여 인구(2015년 29,631명) 대비 문과 급제자 비율이 높으며,[2] 정승 8명과 홍문관 대제학 3명을 배출하였다.
3. 주요 인물
- 조환익(趙煥益, 1950년 ~ ) : 산업자원부 제1차관, 정무차관(政務次官)을 역임한 관료이다.
- 조중표(趙重杓, 1952년 ~ ) : 외교통상부 제1차관, 정무차관(政務次官)을 역임한 관료이다.
3. 1. 조선
- 조계생(趙啓生, 1363년 ~ 1438년) : 1388년(고려 우왕 14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세종 때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1]
- 조말생(趙末生, 1370년 ~ 1447년) : 조계생의 동생. 1401년(태종 1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446년 영중추원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강(文剛)이다.[2]
- 조극관(趙克寬) : 조계생의 아들.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하고 1453년 이조판서가 되었지만,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의 일파로 몰려 피살되었다.
- 조정(趙挺, 1551년 ~ 1629년) : 1583년 문과에 급제하여 광해군 때 우의정을 역임하였고, 형난공신(亨難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한천군(漢川君)에 봉해졌다.
- 조존성(趙存性, 1554년 ~ 1628년) : 성종의 부마인 조무강(趙無疆)의 증손.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소민(昭敏)이다.
- 조창원(趙昌遠, 1583년 ~ 1646년) : 조존성의 아들. 딸이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로 간택되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영돈녕부사에 배수되었다. 시호는 혜목(惠穆)이다.
-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년 ~ 1688년) : 조선의 제16대 국왕 인조의 계비(繼妃).
- 조태채(趙泰采, 1660년 ~ 1722년) : 노론 4대신 중 한 명인 권신(權臣).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堂),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 : 영돈령부사를 지낸 조선의 관료이며 장렬왕후의 종조카이다.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태록당(胎祿堂)이며 본관은 양주(楊州)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조두순(趙斗淳, 1796년 ~ 1870년) : 1827년 문과에 급제하고, 1866년(고종 3) 영의정으로 치사하였다.
- 조병갑(趙秉甲, 1844년 ~ 1912년) :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다.
- 조병세(趙秉世, 1827년 ~ 1905년) : 조선 말기 우의정(右議政)이다. 호는 산재(山齋)이다.
- 조동희(趙同熙, 1856년 ~ 1934년) : 귀족(貴族). 작위는 남작이다. 자는 유선(有先)이다.
- 조민희(趙民熙, 1859년 ~ 1931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이다.
- 조중응(趙重應, 1860년 ~ 1919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이며 조선 말기의 관료이다.
- 조중수(趙重壽, 1894년 ~ 1940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이며 조중응 자작의 아들이다.
- 조중훈(趙重勳, 1920년 ~ 2002년) : 조태채의 후손이며 한진그룹 회장이다.
- 조정호(趙正鎬, 1958년 ~ ) : 조중훈 회장의 아들이며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다.
3. 2. 대한민국
- 조계생(趙啓生, 1363년 ~ 1438년) : 4세손. 1388년(고려 우왕 14년) 문과에 급제, 조선 세종 때 좌참찬(左參贊) 역임. 시호는 정평(靖平).[1]
- 조말생(趙末生, 1370년 ~ 1447년) : 조계생의 동생. 1401년(태종 1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 1446년 영중추원사 역임. 시호는 문강(文剛).[2]
- 조극관(趙克寬) : 조계생의 아들.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 1453년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의 일파로 몰려 피살.
- 조정(趙挺, 1551년 ~ 1629년) : 10세손. 1583년 문과에 급제, 광해군 때 우의정 역임, 형난공신(亨難功臣) 2등에 책록, 한천군(漢川君)에 봉해짐.
- 조존성(趙存性, 1554년 ~ 1628년) : 성종의 부마 조무강(趙無疆)의 증손.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급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역임. 시호는 소민(昭敏).
- 조창원(趙昌遠, 1583년 ~ 1646년) : 조존성의 아들. 딸 장렬왕후(莊烈王后)가 인조의 계비로 간택되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에 봉해지고, 영돈녕부사 역임. 시호는 혜목(惠穆).
-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년 ~ 1688년) : 조선 제16대 국왕 인조의 계비.
- 조태채(趙泰采, 1660년 ~ 1722년) : 노론 4대신 중 한 명. 호는 이우당(二憂堂), 시호는 충익(忠翼).
-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 :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 장렬왕후(莊烈王后)의 종조카.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태록당(胎祿堂). 시호는 문충(文忠).
- 조두순(趙斗淳, 1796년 ~ 1870년) : 1827년 문과에 급제, 1866년(고종 3) 영의정으로 치사.
- 조병갑(趙秉甲, 1844년 ~ 1912년) :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관료.
- 조병세(趙秉世, 1827년 ~ 1905년) : 조선 말기 우의정(右議政). 호는 산재(山齋).
- 조동희(趙同熙, 1856년 ~ 1934년) : 귀족(貴族). 작위는 남작, 자는 유선(有先).
- 조민희(趙民熙, 1859년 ~ 1931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
- 조중응(趙重應, 1860년 ~ 1919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 조선 말기 관료.
- 조중수(趙重壽, 1894년 ~ 1940년) : 귀족(貴族). 작위는 자작, 조중응(趙重應) 자작의 아들.
- 조환익(趙煥益, 1950년 ~ ) : 관료, 산업자원부 제1차관 정무차관(政務次官) 역임.
- 조중표(趙重杓, 1952년 ~ ) : 관료, 외교통상부 제1차관 정무차관(政務次官) 역임.
- 조중훈(趙重勳, 1920년 ~ 2002년) : 조태채(趙泰采)의 후손, 한진그룹 회장.
- 조정호(趙正鎬, 1958년 ~ ) : 조중훈(趙重勳) 회장의 아들, 메리츠금융지주 회장.
4.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5. 항렬자
15세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구빈 () | 영 () | 구규 () | 진 () | 구순 () | 병 () | 구희 () | 중 () | 구호 () | 원 () | 구식 () | 용 () | 구규 () | 상 () | 구수 () | 종 () | 구하 () | 재 () | 구선 () | 한 () | 구모 () | 헌 () | 구균 () | 경 () | 구준 () | 근 () | 구준 () | 기 () | 구종 () | 준 () | 구래 () |
6. 인구
연도 | 인구 |
---|---|
2000년 | 23,942명 |
2015년 | 29,631명 |
참조
[1]
실록
세종실록 116권, 세종 29년 4월 27일 무오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201_359_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